이한구(2014). 칼 포퍼의 '열린사회와 그 적들' 읽기. 서울: 세창미디어
(13) 포퍼는 1920년대와 30년대 초에 빈 학단이 주장하는 논리적 실증주의 철학과의 대결을 통해 우리가 오늘날 '비판적 합리주의'라 부르는 인식론과 과학철학을 발전시켰다. (14) 즉 한 이론이 과학적 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그 이론과 상충되는 관찰을 생각할 수 있고, 그것을 경험에 의해서 반증할 수 있도록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19) 비판적 합리주의의 주장에 따르면, 우리가 합리적 논증의 도움으로 비판적으로 따져나간다면 진리로 점차 가까이 접근해 갈 수는 있다. 그러나 이때에도 절대적 확실성에 도달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우리의 앎에 대한 비판과 자기비판의 준비가 비판적 합리주의에서는 삶의 방식으로서 요구된다. (25) 포퍼는 파시즘과 마르크시즘이라는 근대의 가장 중요한 두 역사철학이 모두 선민사상에까지 소급해 갈 수 있는 역사법칙주의에 기초해 있다고 본다. 다시 말해 현대의 가장 중요한 두 역사법칙주의, 즉 우파의 인종주의 내지는 파시즘의 역사법칙주의와 좌파의 마르크스적 역사법칙주의가 모두 이런 유신론적 역사법칙주의의 흐름을 계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34) '최선의 추구 대신에 최악의 제거를 위해서 노력하라' 이 말은 포퍼가 강조해 마지않았던 사회철학의 명제였다. 열린사회와 그 적들 1부 (55) 포퍼는 형상이나 이데아에 대한 플라톤의 이론이 변화하는 세계의 발전에서 특정한 경향을 함축한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은 세상 만물이 계속해서 타락하지 않을 수 없다는 법칙으로 인도된다. (61) 지배계급의 기원과 양육 및 교육에 대한 플라톤의 견해를 이해하려면 우리는 우리의 분석에서 두 가지 주요한 초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포퍼는 강조한다. 무엇보다 먼저 우리가 명심해야 할 것은 플라톤이 재구성하고 있는 것이 과거의 국가라는 것이다. 둘째로 명심할 것은 플라톤이 그 국가를 재구성하는 관점은 국가 안정의 조건에 대한 것이며, 그는 안정의 보증을 오직 지배계급 내부에서, 특히 계급의 단합과 힘에서만 추구하고 있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