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022의 게시물 표시

이준선 외(2011). 한국역사지리. (주)푸른길: 서울

제 1장 역사지리학의 본질과 접근 방법 - 고려대학교 홍금수  학문 발달의 과정에서 시간과 공간은 주목할 만한 족적을 남기고 있는데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영역에서 역사학과 지리학의 태동을 이끌었고, 두 학문이 끊임없이 교류하는 가운데 시간을 대상으로 하는 역사학과 공간의 문제를 다루는 지리학이 만나 통섭의 학문인 역사지리학을 성립시켰다(20).  학문의 경계를 넘나드는 건설적인 교섭, 다시 말해 융합을 정체성의 근간으로 하는 역사지라학이 독립된 연구 분야로 출범을 알리기까지 오랜 시일이 소요되었던 것은 시간과 공간의 전유를 주장하는 역사학과 지리학이 독립된 학문이라는 칸트(I. Kant)의 이분법적 인식이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21). 1940년 미국 루이지애나 주 배턴루지에서 열린 미국지리학회 연차학술대회에서였다. 사우어의 회장 연설은 지역이 가진 개성에 의미를 두고 현재의 지역 간 차이를 규명하되 과거와는 무관한 것이 '지리학의 본질'이라 역설한 핫숀을 비판하는 데 많은 부분을 할애하였다. 논쟁에서 사우어는 분분한 개념 논의로 지리학의 혼란을 가중시키거나 칸트가 강조한 비역사적이고 무미건조한 지역 연구를 지향해서는 곤란하다는 논지를 펴 시간과 지리의 조우를 공식적으로 천명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과거의 지리를 복원하는 역사지리학이 추진력을 얻게 된다(22). 요컨대, 역사지리학은 연구 대상, 주제, 관점, 방법론에 입각해 다양하게 정의되었고 학자에 따라 이해 방식을 달리하였지만, '과거지리의 복원'이라는 공통된 관심사를 가진다. 이는 영국을 대표하는 역사지리학자 다비의 견해와 일치하는 바이기도 하다. 역사지리학은 결국 지난 시기의 지역, 공간, 장소를 배경으로 형성된 지리적 패턴과 그 변화상을 복원하고 설명하는 학문으로 정리될 수 있을 것 같다(26). 역사지리학은 궁극적으로 지역의 역사를 파악하고 과거의 지역 상황을 사실에 가깝게 재현하는 데 관여한다(26). 역사지리학의 구성요소로는 시간(time), 공간(spa...